-
사리존자의 법륜 부처님께서 바라나시의 녹야원에 머무는 동안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이곳 녹야원에서 일찍이 어떤 사람도 또 어느 곳에서도 굴린 적이 없는 최상의 법륜을 설하였다. 그것은 네 가지의 진리, 즉 고(苦). 집(集). 멸(滅). 도(道)이다. 비구들아, 사리존자와 목련존자를 잘 섬기고 ..
<< 계율. 선정. 지혜 >> - 계정혜 삼학(戒定惠 三學) - [1] 경전 강독 부처님께서는 오백명의 비구들과 함께 여행을 하시며 앙가국 수도에 도달하시어 갓가라 연못가에 머물러 계시었다. “존사 쏘오나”라는 훌륭한 바라문이 부처님의 명성을 듣고 부처님이 계신곳으로 왔다. 이때 세존께서는 ..
금강경 오가해(1-서문) 서문 有一物於此하니 絶名相호대 貫古今하고 유일물어차 절명상 관고금 여기에 한 物件(一物)이 있으니 名[이름]과 相[모양]이 끊어졌으되 古今(옛과 지금)을 꿰뚫고 있고 處一塵호대 圍六合이로다 처일진 위육합 한 티끌에 處하되 六合(四方上下)을 에워쌈이로다.(두루하지 않..
금강경 오가해 대요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란, 금강경에 관한 다섯명의 전문가(家) 각자의 견해를 풀이한 것이데, 저자는 미상이다. 이 오가해(五家解)를 우리나라 함허득통 스님이 보충설명(설의說誼)를 하였는데, 이를 합하면 육가해(六家解)라 말할 수 있다. 또 규봉스님의 소(소)에는 미륵보..
금강경의 지위 (1) 금강경을 의지하는 이유 불교의 근본 이치인 아공(我空=나없음), 법공(法空=유위법 없음)을 설파하신 근본도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육조대사가 금강경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의 구절에 의하여 대오하셨다는 점에서 소의경으로 하고 있다. (2) 금강경 번역의 중요한 것 1..
금강경분과에 대하여 ◇ 금강경의 내용을 분과하는데 여러 가지 설(說)이 분분한데, 이것은 금강경의 내용이 32분으로 나뉘어 있으나 각1분, 1분은 제각기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어 전후 연결이 없다는 뜻이다. 대체로 전반경(제1분~16분), 후반경(제17분~32분)의 양대 구분을 붙여 그 상이점을 볼 수 ..
금강경 제자 해설 (1) 금강(金剛) 신비하고 밝음을 비유한 것인데 일단 굳세고 영명함이 금강석과 같아서 생사를 초월하여 어느 곳이던 어느 때이든 항상 일정하여 변함이 없고, 여러 겁을 지내도 항상 그대로 있는 것과 같이 영명한 깨달음도 침해받거나 파괴하지 못하는 것이므로 금강의 견고함에 비..
금강경의 중심사상 <금강경의 중심사상이 반야공사상인데 경문에 의하여 고찰해보면 경 처음 “선현기청분”에서 세존께서 수보리에게 답하신 의도를 연구해 보면 “반야공사상”을 알 수 있다.> 구라마습번역에는 운하응주(云何應住)? 운하항복기심(云何降伏其心)?의 두 가지 질문 뿐인데,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