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혜로 아는 마음, 생활불교 중국 당나라 대시인 백낙천이 도림선사를 찾아가 "불교의 대의가 무엇이냐"고 물었습니다. 스님은 "제악막작 중선봉행(諸惡莫作 衆善奉行: 모든 악을 짓지 말고, 모든 선을 받들어 행하라)"이라고 하니, 백낙천은 웃으며 "그런 것은 어린 애도 다 아는게 아니..
“근본불교는 물론 대승불교도 훌륭한 불교다.” 불자님들 임진년 새해가 밝은지 이제 보름이 되었습니다. 올해는 우리나라 뿐 만 아니라 러시아, 중국, 미국 등 나라에서 새로운 지도자를 뽑게 됩니다. 그런데 이러한 총선과 대선이 있을 때 무수히 많은 공약과 슬로건이 나오지..
◇◇ 목 차 ◇◇ 1. 대승불교의 탄생 [1] 인도불교 교단의 변천 [2] 대승불교란? [3] 대승불교와 경전서사 공덕 2. 대승불교와 보살사상 [1] 大乘佛敎의 태동과 菩薩思想 [2] 대승보살사상과 空 思想 3. 대승보살의 실천 (空의 實踐) - 대승불교의 실천자는 대승보살이다. - [1] 모든 고통의 원인은 “我執” [2]..
규봉종밀(圭峰宗密)의 생애와 사상 ◇ 목 차 ◇ [1] 규봉종밀(圭峰宗密)의 생애와 저술 [2] 규봉종밀(圭峰宗密)의 사상 [3] 禪의 三宗과 敎의 三敎 가.서론 나.본론 1. 禪의 三宗 (1) 식망수심종(息妄修心宗) (2) 민절무기종(泯絶無寄宗) (3) 직현심성종(直顯心性宗) (4) 화택종(河澤宗)의 우월성 주장(마니구슬..
제목 :중국 禪宗의 원류 (1) 선종의 시원과 의의 중국인들은 매우 실리적이고 현세 만족적인 경향이 강하다. 그래서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이후 중국인 들은 불교 안에서 자신들이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측면을 찾기 시작 하였다. 이러한 탐구 속에서 불교수행의 정수로서 선(禪)을 찾아내었다. 禪은..
◇ 조지훈- 이청담 불교 분규 논쟁을 생각하며~ ◇ 목 차 1. 서론 2. 조지훈 - 이청담 불교 논쟁 요약 (1) 한국불교 살리는 길 (2) 하나의 오해(誤解) (3) 독선심(獨善心)의 장벽(墻壁) (4) 유문유답(有問有答) 3. 부처님은 중도주의를 실천하신 분이다. ◇ 극단적 원리주의 배격 ◇ 대중화합이 더 귀중하다 4. 결..
대승보살 실천이 길 (태고종도들이여~눈을 떠소서~ ) ◇ 목차 1. 서언 (주제의 이해) 가. 개념의 정의와 주제선정의 당위성 (1) 태고종의 宗祖 (2) 태고종의 宗旨 (3) 개념의 정의와 주제선정의 당위성 나. 연구목적과 방법, 범위 2. 본론 1 (문제인식) 가. 태고종 현황 나. 문제점(부정적인 환경)발생과 원인..
◇ 영원으로 인도하는 배 [1] 왜 영원으로 가는 배를 타야하는가? 부처님의 가르침은 영원한 행복 (무여 열반)으로 인도하는 지도요 나침반이다. 그런데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운 사람은 홀로가야 한다. 물론 선우와 함께 공부는 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고해의 바다를 삼계의 불바다를 혼자서 건너야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