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보부모은중경(大報父母恩重經) ◇ 해설 부모님의 은혜가 한량없이 크고 깊음을 설하고 그 은혜에 보답할 것을 가르친 불교경전중에 <부모은중경>이 있습니다. 이 경전은 대승경전중의 하나로 유교의 효경(孝經)과 유사합니다. 그러나 유교의 효경(孝經)이 아버지의 은혜를 강조한 것에 대하여 ..
니체가 본 불교적 허무주의 바로 알자 [1] 니체가 본 불교 염세주의자 쇼펜하우어에게서 큰 영감을 받은 니체(19세기 독일 실존주의 철학자)는 처음에는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의 세계>에 반해서 자신의 유일한 스승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후일 니체는 쇼펜하우어에 삶이 너무 염세주의인 ..
불교와 쇼펜하우어~ 쇼펜하우어의 염세주의와 불교 무엇이 다른가? ◇ 인생 일장춘몽(一場春夢) 옛날 중국 당나라에 노생이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큰 부자가 되기가 원이요, 출세하여 좋은 여자를 얻어 아들 딸 놓고 영화롭게 살기가 원이었습니다. 어느 날 그는 한단(邯鄲)지방으로 가다가 신..
(3) 연기법과 사회적 해탈 1) 연기법과 의식개혁 부처님의 가르침(연기법)을 철저히 배우고 바르게 알면, 무(無 어둠/번뇌)를 없애고 명(明지혜/자비)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명(明)이란? 넓게 보고, 본질을 보고, 사실을 보고, 진실을 보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먼저 눈이 바뀌면 자동적으로 의식이 ..
제 3장 부처님의 가르침 1. 중도(中道) 부처님은 혹독한 고행주의를 버렸습니다. 즉 “악기는 줄을 너무 세게 당겨도 안 되고, 또 너무 느슨하게 당겨도 안 된다”는 말에서 중도의 이치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출가수행자는 두 가지 극단을 버려야 하는데, 그 극단의 하나는 애욕생활에 빠지는 일이며..
2장. 부처님의 생애 1. 부처님의 탄생 (태자의 탄생) 부처님은 기원전 624년 히말라야 남쪽 산기슭 갠지스강의 한 지류에 샤카족의 카필라국(도시국가)에서 태자로 태어났습니다. 카필라국은 당시 아리안족의 강대국인 코살라국의 한 지방 부족 국으로 자치권만 인정된 비 아리안 족이었으며, 그 나라는..
2. 불교는 다른 종교와 어떻게 다른가? 불교는 그 어떤 절대적인 신이나 신의계시 따위에 의존하지 않고, 교조 석가모니 부처님이 깨달으신 보편적 진리를 믿고 진리대로 살아가며, 그 궁극적 영원한 행복(영원한 자유=해탈)을 얻고자함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생존당시 인도에 있던 종교내지 사상에 대..
1. 불교란 무엇인가? (1)불교란 부처님의 가르침을 말합니다. 넓은 의미로는 부처님과 관련된 모든 것을 불교라 할 수 있습니다. 깨달은 사람(佛)에 의하여 가르쳐지는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과 방법(法) 그리고 깨달음에 이르고자 노력하는 사람(僧)을 모두 불교라 합니다. 불교의 교조이신 석가모니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