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처님의 교단에 귀의합니다. >> 귀의승보(歸依僧寶 ) ◇ 승보(僧寶 = 부처님의 교단)의 가피(加被) 자씨보살(미륵보살)이 여쭈었다. “무엇이 진실한 교단이라 하나이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승보(僧寶 = 부처님의 교단)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으니, (1) 제일의승(第一義僧=최고 진실..
부처님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귀의법보(歸依法寶) ◇ 법보(法寶)의 가피(加被) 온갖 중생은 응당 절대적 진실인 법보(法寶)에 귀의해야 하노니, 그것은 온갖 존재 중에서 가장 존귀하고 가장 뛰어났기 때문이다. 어째서 그런가? 생사의 고해에서 배와 뗏목의 구실을 하며, 중생의 감로 같은 양약이 되며..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귀의 불보(歸依佛寶)> ◇불보(佛寶)의 가피 불보(佛寶)에 귀의하면 중생들의 아버지(스승)가 되어, 온갖 번뇌를 끊고 깨달음의 길에 오르느니라. <제법집요경> 우리 부처님께서는 대비(大悲)로 여러 중생들을 조복(調伏)하사 공덕(功德)의 바다를 이루셨습니다. 그러므로..
<삼보(三寶)에 귀의하는 이유> [1] 삼보(三寶)란 무엇인가? 불교를 믿고 공부하는데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이 삼귀의(三歸依)입니다. 오늘은 이 삼귀의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귀의(歸依)란 돌아가 의지하고 구원을 청한다는 뜻입니다. 삼귀의(三歸依)에서 삼(三)이란 불(佛).법(法).승(僧)의 ..
<염불의 종류> 무엇이 염불인가? 부처님께서 얻으신 것처럼 나도 얻어지이다 하여, 이와 같이 염(念)함이다. 이 염불에는 아홉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염함이요 둘째는 부처님과 보살을 염함이요 셋째는 부처님의 행위를 염함이요 넷째는 부처님의 청정함을 염함이요 다섯째는 ..
<부처님의 아내 야소다라> ◇ 숫도다나 (정반)왕은 아시타 선인의 예언이 항상 마음에 걸렸다. 부왕은 아들이 출가하여 성인이 되는 것 보다 세속에 살면서 전륜성왕 되어 가문을 빛내주길 바랐다. 그는 궁리 끝에 아들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서 우선 여자에 대한 즐거움을 알려주는 것이 최선책이..
2. 조화(調和)있게 행하라.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그 때 세존께서는 왕사성에 있는 기사산굴에 머물러 계시었다. 그리고 그 때 마가다국 빔비사라왕은 8만의 마을을 지배하는 지배자로서 나라를 다스리고 있었다. 그 때 쟌바(안가국의 수도)에 <쏘오나 고리비사>라고 부르는 아름다운 장자(長子)..
제2장 식심(識心)에 관한 장 1. 손안에 있는 잎사귀는 적지만 승섭파의 잎사귀는 무수하다. ◇ 한 때 세존께서는 구섬미국에 있는 승섭파 숲에 머물러 계시었다. 그 때 세존께서는 몇 개의 승섭파 나무의 잎사귀를 손에 들고 비구들에게 말씀하시었다. <비구들아, 이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 지금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