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행복은 구하는 자가 행복을 얻는다.남광 개운상담 엣세이 2021. 3. 4. 10:01
행복한 사람, 복 받는 사람!(2053) # 세상살이에 부딪침이 많고 항상 인덕 없음을 한탄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한 마디로 복이 없는 사람입니다. 그러면 이러한 사람은 주로 어떤 행동을 할까요? 얼굴은 경색되어 찡그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말끝마다 ‘힘들다. 어렵다. 죽겠다.’고 불평불만이 많고 매번 부정적인 말을 늘어놓습니다. 또 이러한 사람은 남의 말을 귀담아 들으려하지 않습니다. 대신 자기의 이야기를 자꾸 많이 하려고 합니다. 반면 다른 사람이 자신의 말을 듣지 않는다고 원망합니다. 남을 위해 베푸는 마음이 적고 오히려 남이 안준다고 원망합니다. 이러한 사람은 자존심이 높고 콧대 또한 한없이 높습니다. # 행복하게 이 세상을 잘 사는 사람 어려울 때 주변에서 도움을 잘 받는 사람이 있습니다. 한 마..
-
물고기가 잘 사는 물남광 개운상담 엣세이 2021. 3. 2. 21:56
물고기가 잘 사는 물(2050) # 지나치게 오염된 물이나 지나치게 맑은 물에서는 물고기가 살지 않습니다. 사람이 너무 결백하여 독단적이고, 아량이 없으면 사람이 모이지 않습니다. # 부처님이 계실 당시 소오나 비구는 선정을 닦다가 문득 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부처님의 제자로 정진하지만 아직 나는 번뇌를 다하지 못했다. 애를 써도 도를 이루지 못할 바엔 차라리 집에서 보시를 행하며 복을 짓는 것이 낫지 않을 까?’ 이에 부처님께서는 소오나의 마음을 아시고 소오나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세속에 있을 때에 거문고를 탄 적이 있는가? " "네, 그렇습니다." "네가 거문고를 탈 때 만약 그 줄을 너무 조이면 어떠하든가?" "소리가 잘 나지 않습니다." "줄을 너무 늦추었을 때는 어떠하든가?" "그때도 잘 나..
-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남광 개운상담 엣세이 2021. 3. 1. 18:01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2049) # 부운(浮雲) 공수래(空手來) 공수거(空手去) 시인생(是人生) 생종하처래(生從何處來) 사향하처거(死向何處去) 생야일편부운기(生也一片浮雲起) 사야일편부운멸(死也一片浮雲滅) 부운자체본무실(浮雲自體本無實) 생야거래역여연(生也去來亦如然) 독유일물상독로(獨有一物常獨露) 담연불수어생사(澹然不隨於生死) 뜬구름아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것 이것이 인생인 걸 태어남은 어디서 오며 죽음은 어디로 가는가 태어남은 한 조각구름이 일어남이요 죽음은 한 조각구름이 사라지는 것이거늘 뜬구름 자체는 본래 형상이 없는 것이니 태어남도 죽음도 모두 이와 같다네 여기 한 물건이 항상 홀로 있어 초연한 자연의 생사를 따르지 앉는다네. # 위 시는 고려 나옹선사의 누님이 쓴 시로 전해지고 있..
-
오직 모를 뿐남광 개운상담 엣세이 2021. 2. 28. 07:09
오직 모를 뿐(2047) # 사바세계는 어리석은 무명(無明) 중생이 사는 세상입니다. 우주의 모든 실상을 깨우친 부처님이 되기 전까지는 누구나 모를 뿐입니다. 하지만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면서 진리를 조금씩 알아갑니다. 그래서 이 세상에는 진리를 배우고 깨달아가는 사람들과 진리를 모르고 외면시하는 사람들이 함께 공존하여 살아갑니다. 진리는 인연과법이요, 삼법인이요, 사성제요, 공(空)의 섭리요, 불성(佛性)입니다. # 어리석은 사람은 그들끼리 어울리기 때문에 갈등을 겪으면서도 살고 있습니다. 진리를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끼리 살아갑니다. 진리를 깨달아가는 지혜가 있는 사람은 지혜가 있는 사람끼리 살아갑니다. 진리에 대해 서로가 모르면 시비를 하지 않습니다. 진리에 대해 서로가 알면 시비를 ..
-
욕망과 대망남광 개운상담 엣세이 2021. 2. 27. 14:33
욕망(欲望)과 대원(大願)(2046) # 어떤 수행자가 한 스님을 찾아가 질문했습니다. 스님 금강경에서 말씀하시기를 “바라는 바 없는 마음을 내라.”고 하셨는데, 스님께서 극락가기를 바라는 것은 금강경 말씀에 위배 되는 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그러자 그 스님은 빙그레 웃으며 다음과 같은 법문을 설했습니다. # “수행자여~ 사람이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하나는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할 때 을 내는 것이요, 다른 하나는 없이 생각하고 행동하고 말하는 것입니다. 사람은 욕망 때문에 태어나서 욕망으로 살고 욕망을 가지고 죽게 됩니다. 그래서 생노병사(生老病死)의 원인이 욕망이 됩니다. 또 사람은 욕망이 있어서 발전하기도 하고 욕망이 있어서 퇴보하기도 합니다. 욕망이 있어서 즐거움과 감..
-
바꿀 수 없는 것 숙명, 바꿀 수 있는 것 운명 - 숙명과 운명 이야기남광 개운상담 엣세이 2021. 2. 24. 22:29
바꿀수 없는 것 숙명, 바꿀 수 있는 것 운명 -숙명(宿命)과 운명(運命) 이야기- # 사전에 보면 숙명(宿命)과 운명(運命)이 같은 것으로 나옵니다. 하지만 숙명(宿命)은 바꿀 수 없는 것이요, 운명(運命)은 바꿀 수가 있는 것입니다. 숙명은 수많은 과거생의 인연으로 인간으로 태어났다든지, 남자나 여자로 태어난 것이나 또는 부모나 자식을 맺은 것으로 스스로 바꿀 수가 없습니다. 또 자신의 키는 마음대로 고칠 수 없습니다. 이 업은 부처님도 바꿀 수가 없습니다. 이에 비해 운명은(運命) 자신의 삶을 운전해 가는 것입니다. 직업이나 배우자를 선택하는 것이나 몸무게를 조절하는 것은 운명입니다. # 또 재미있는 비유로 “운명은 앞에서 날아오는 돌이요, 숙명은 뒤에서 날아오는 돌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앞에..
-
행복하게 사는 길, 불행하게 사는 길남광 개운상담 엣세이 2021. 2. 22. 07:13
행복하게 사는 길, 불행하게 사는 길(2042) # ‘부처님께서는 미래는 정해져 있지 않다. 현재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미래에 행복할 수도 불행할 수도 있다.'고 하셨습니다. 현재 선업을 짓고 악업을 멀리하는 일을 계속하면 미래에는 행복하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현재 착한 일을 하지 않으면 본래 전생에 과보를 그대로 받게 됩니다. 그러면 전생의 업보인 하늘의 재앙(운명)이 그대로 적용되게 됩니다. 하지만 착한 일을 많이 하고 큰 공덕을 지으면, 하늘이 내린 나쁜 운명(재앙)도 피할 수 있으며 오히려 미래에 더 잘살게 됩니다. # 삼세인과경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내가 살아있는 생명을 살생을 했으면 이 과보로 단명하게 됩니다. 내가 살아있는 생명을 동정하면 이 과보로 장수하게 됩니다. 내가 살아있는..
-
불교생활상담사과정개운의 길 2021. 2. 18. 09:09
▶ 디지털법륜불교대학 제1기 불교생활상담사 과정◀ [1] 불교생활상담사(=“전법사”)란? [불교생활상담사=전법사]란 부처님의 가르침을 대중들에게 널리 전법하는 불제자로 생활 속에서 고통과 갈등, 번민하는 사람들에게 부처님의 법에 근거하여 그들의 병을 진단하고 처방을 제시해주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생활상담사를 말합니다. [2] 불교생활상담사(=전법사)의 교육내용, 특전 가. 불교생활상담사(=전법사)과정 ▶ 교육기간 : 1년 (1학기 : 2021년 3월3일~8월31일) ▶ 교육내용 : 1년 과정(1학기 : 행복의문, 반야심경) (2학기 : 전법사지침, 의식교육, 천수경) ▶ 교 육 비 : 20만원 (입학금, 교재비 포함) - 대학장 추천시 50%감면 ▶ 등록기간 : 2021년 2월1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