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특강(개운 비법)
    개운명리교실 2007. 12. 6. 16:36
     

       <운을 여는 법 = 개운법> 핵심은?

     

     

      

    ◇ 마음은 모든 일의 근본이 된다.(개운의 핵심1)

      

       마음은 모든 일의 근본이 된다.

       마음은 主(주)가 되어 모든 일을 시키나니

       마음속에 착한 일을 생각하면

       그 말과 행동도 또한 그러하리라.


       그 때문에 즐거움이 그를 따르리.

       마치 형체를 따르는 그림자처럼~

          <법구경 쌍서품 1>


    ◇ 마음을 다스리는 글 (개운의 핵심 2)


      복은 검소함에서 생기고,

      덕은 겸양에서 생기고,

      지혜는 고요히 생각하는데서 생기느니라.


      근심은 애욕에서 생기고,

      재앙은 물욕에서 생기며,

      허물은 경망에서 생기고,

      죄는 참지 못하는 데서 생기느니라.


      눈을 조심하여 남의 그릇됨을 보지 말고,

      맑고 아름다움을 볼 것이며,

      입을 조심하여 실없는 말을 하지 말고,

      착한 말, 바른말, 고운 말을 언제나 할 것이며,

      몸을 조심하여 나쁜 친구를 사귀지 말고,

      어질고 착한 이를 가까이 하라.


      어른을 공경하고,

      덕 있는 이를 받들며,

      지혜로운 이를 따르고,

      모르는 이를 너그럽게 용서하라. 


      오는 것을 거절 말고 가는 것을 잡지 말며,

      내 몸 대우 없음에 바라지 말고,

      일이 지나갔음에 원망하지 말라.


      남을 해하면 마침내 그것이 자기에게 돌아오고,

      세력을 의지하면 화마(火魔)가 반드시 따르느니라.


      불자야 이글을 읽고  낱낱이 새겨서,

      다 같이 영원을 살아갈 지어다.


    ◇ 마음으로 모든 것을 짓는다.(개운의 핵심 3)


       이것은 화엄경의 요지이다.


         즉 화엄경 수미정상게찬품에 

         若人欲了知 三世一切佛 應觀法界性 一切唯心造 

         (약인욕요지 삼세일체불 응관법계성 일체유심조)라는 말이 있다.

      이 뜻은 “만일 삼세의 모든 부처를 알고자 한다면, 법계의 본성이나 모든 것들은 오직

      마음(心)이 지은 것인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 이 마음이 근본이 되어 어떤 생각을 일으키면 그 생각에 따라 말하고 행동하게

       된다는 뜻이다.

       착한 생각을 하면 착한 말과 착한 행동을 하게 되고,

       악한 일을 생각하면 악한 말과 악한 행동을 하게 된다.

       원한을 가지면 원한에 찬 말과 원한에 찬 행동이 나오게 된다.

       남을 원망하는 마음을 가지면, 남을 원망하는 말과 행동을 하게 된다.


    ● 남에게 착한 말과 착한 행동을 하면

       상대방이 먼저 기뻐하고 좋아한다.

       그러면 자신도 덩달아 기뻐하며 즐겁게 된다.

       그래서 좋은 인과로 좋은 열매를 맺게 된다.

       남에게 악한 말과 악한 행동을 하면

       상대방이 먼저 미워하고 싫어한다.


       그러면 자신도 덩달아 미워하고 화를 낸다.

       그래서 나쁜 인과로 나쁜 업을 짓게 된다.


    ◇ 내가 먼저 변해야한다. (개운의 핵심4)


       그래서 남이 바뀌기를 바라지 말고

       먼저 내가 바뀌어야 한다.


       내가 넓은 마음, 자비로운 마음을 가지면

       넓은 생각, 자비로운 생각이 들고

        

       다른 사람을 내 몸과 같이 생각하고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게 된다.


       그러면 더욱 좋은 선과의 열매가 열리니

       하늘이 도와 운이 척척 잘 풀린다.


    ● 운은 내가 착한마음 바른 마음을 가지고

       바른 생각과 바른 행동을 할 때

       하늘이 먼저 이를 알고 화답을 준다.

       그 화답은 하늘이 직접주지 않고

       사람을 통하여 화답을 준다.


       그래서 좋은 운이 시작되면

       반드시 주변 사람이 나를 도 운다.


    ● 반대로 내가 나쁜 마음 마음을 가지고 

       나쁜 생각과 나쁜 행동을 할 때

       하늘이 먼저 이를 알고 화답을 준다.

       그 화답은 하늘이 직접주지 않고

       사람을 통하여 화답을 준다.


       그래서 나쁜 운이 시작되면

       반드시 주변 사람이 나를 해롭게 한다.


    ◇ 개운의 요체는? (개운의 구체적 방법 1)

     

       편고 한 마음을 먼저 찾아 이를 치유하고 고쳐야 한다.

       인생사는 혼자 사는 것이 아니다.

       더불어 사는 것이므로, 내가 먼저 큰마음을 가지고 양보하고 부드러움 마음으로

       상대를 진실하게 대하면, 상대가 나를 신뢰하고 도와준다.

         그런데 좋은 마음을 가지려고 해도 자신이 주로 어떤 마음을 내는지는 스스로

       모르는 경우가 많다.

     

       ● 그래서 대체로 다른 사람이 그의 행동을 지적해 줄때 알게 된다. 그러나 요즈음같이

       바쁜 세상 누가 남에게 욕을 먹어가며, 다른 사람의 행동을 지적해 줄 것인가? 

         가족들이 제일 먼저 지적해주지만 그때는 더욱 그 말을 귀담아 듣지 않는다. 그리하여

       점점 나쁜 습관은 쌓여서, 나이 사오십이 넘으면 어지간해서 고쳐지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그는 자신이 과거 생부터 금생까지 지은 업력(습관, 습성)으로 살다가

      저 세상을 가고 만다. 이 얼마나 허망한 일인가?   


      ◇ 편고 한 마음을 찾는 법은?

         옛날에는 선지식이 타심통이 있어 나쁜 습성을 지적해주고 고치는 방법도 알려 주었다. 그러나 요즈음은

      그러한 선지식이 드물다. 그래서 서양심리학 중 행동심리나 심층심리 같은 것에서 알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

      별도로 공부를 해야 하니 이 또한 어렵다. 

         ● 그런데 동양 철학에서는 예로부터 사주를 중심으로 그 사람의 성격과 성품을 연구하여 왔거니와 이를

      제대로 공부하면, 그 사람의 성품과 성격은 아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 개운 명리 학에서는 이점에 착안하여

         개인 심리는 물론 배우자를 만나는 순간 부부란 새로운 결합체가 탄생하는 데 여기서는 부부심리 또 가족심리

      더 나아가 직장심리까지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한 기존의 사주명리 뿐만 아니라, 주변 심리학 등을 종합해야 한다.

        

      ◇ 그 사람의 운세만 단순히 판단해주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그 사람의 마음의 병을 찾아

    그를 깨우쳐 주어서 진정한 개운을 하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 물론 이를 위해서는 상담을 해주시는 분도 상당한 마음수양이 되신 분이 전제가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이 책은 모두 3권으로 구성되는데 제1권은 일부 공개합니다만,

         이 책은 판매하는 것이 아닙니다.

         제 2, 3권은 필자에게 직접 강의를 받은 분이나 또는 상담을 한 후  전해드립니다.


      ◇ 그 이유는?

         본 책 서문에도 나와 있습니다만 (이 책 서문을 꼭 읽어보십시오.)

         단순한 명리 학을 전하는 수준이 아닙니다. 

         개운명리를 담당하실 분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실 분이라야 합니다.

         왜냐하면 결국

         이 개운 명리학은 부처님의 마음 법을 전하는 방편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 부처님 전도 선언에 나와 있는 “모든 사람의 이익과 행복을 위하여”라는

          대 전제하에 이 명리학이 그 수단 방편의 하나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같은 물이라도 독사가 마시면, 독이 되고

                            소가 물을 마시면 우유가 되는 것입니다.


         ● 그러므로 이 책이나 강의는 필자가 먼저 상담을 한 후 전해드리고 있습니다.

     

                               <새들의 쉼터 개운당 남광 합장 >

     

         ● 참고 : 강의 내용 < 동영상 제작 중>

     

     

       

        

     

     

    '개운명리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進氣 (진기)란 무엇인가?  (0) 2007.12.14
    어리석은 명리학도의 깨달음  (0) 2007.12.12
    십이지지의 속성~  (0) 2007.11.30
    천간의 속성과 사주  (0) 2007.11.30
    사주 명리학 발달사~  (0) 2007.11.3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