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천운(天運), 지운(地運) 그리고 인운(人運)개운의 길/개운명리 왜 배우나? 2010. 3. 21. 12:33
천운(天運), 지운(地運) 그리고 인운(人運)
[1] 삶과 죽음
구름이 만나고 흩어지듯
부모가 만나 자식을 만들고
그 자식이 성장하여 또 짝을 이루고 살다가
언젠가는 죽음에 이르게 된다.
그런데 죽음에 이르면 육신과 물질적인 것은
모두 가져갈 수 없다.
지수화풍으로 만든 육신을
그대로 자연으로 돌려주고 간다.
다만 가져가는 것은
이생에서도 경험하고 느끼고 행동한 기억들을 다 가지고
갈 뿐이다.
이 기억을 우리는 업식(業識)이라한다.
그리고 업식(業識)은 제8식(아뢰야식=잠재의식)에 저장되며
이 제8식(아뢰야식)은 끊임없이 윤회를 한다.
그래서 다음 생에 태어나면
자신의 전생의 습에 의해서 살아가게 된다.
따라서 사람은 세세생생 이어온 습성으로 세상을 살아가며
이생에서 또 경험하고 느끼고 행동한 기억들을 추가하여 또 다음 생을
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2] 천운(天運) = 태어난 때
사람들이 전생에 지은 기억의 표상이 무엇일까?
나무의 나이테를 보면 우리는 나무의 지나온 자취 알 수 있다.
언제 비가 많이 왔는지, 가뭄이 왔는지, 추웠는지를 그 나이테의 모양을
분석해 보면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람의 전생의 표상은 욕망으로 나타나는데, 사람의 사주를
분석해보면 그 사람의 욕망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즉 어떠한 사람이 어떠한 욕망이 강하면 그 욕망 때문에 여러 가지
생각이나 행동이 결정된다. 사고의 틀이나 가치관도 결국 그 사람의 욕망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창조의 욕구가 많고, 친함의 욕구가 많고, 또 어떤 사람은 성취욕구가 많고, 또 어떤
사람은 안정욕구가 많고, 또 어떤 사람은 배움의 욕구가 많고, 또 어떤 사람은 생존의 욕구나
소유욕이 많고, 또 어떤 사람은 명예욕과 재물욕이 많은 등이다.
어떤 욕망이 지나지게 한 쪽으로 편중되면 그에 상응한 집착이 생겨서 사고하고 행동하게
되며 그것이 바로 자신의 운과 직결된다.
이렇게 이 기본 욕망자체의 분포도의 정도가 바로 천운(天運)인 것이다.
이 천운(天運)은 이 세상에 태어날 때 이미 결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 천운(天運)은 어떤 사람의 평생의 운을 60~65%정도 좌우하게 된다.
그리고 이 천운(天運)은 사주분석을 통해서 가능하다.
그리고 천운(天運)은 욕망분석이 그 핵심이 된다.
왜냐하면 욕망 때문에 마음이 일어나고 마음으로 생각이 일어나면 행동하기 때문이다.
그 천운(天運)은 <좋은 씨앗인가, 나쁜 씨앗인가?>가 중요하다.
[3] 지운(地運) = 태어난 장소
같은 사주를 가지고 태어난 사람도 그가 어디에서 태어났는가에 따라 운이 다르게 된다.
같은 사주라도 부자 집에 태어난 사람과 가난한 집안에 태어난 사람과는 차이가 많다.
사람이 어떤 환경에 태어났는가도 그 사람의 운에 미치는 영향이 10~15%정도 된다.
● 같은 씨앗이라도 자갈밭에 뿌린 것과 옥토에 뿌린 것은 또 중요하다.
[4] 인운(人運) = 개운을 위한 노력
같은 사주에 같은 집안(쌍둥이)에 태어나도 운이 다르게 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물론 선후(태어난 때)가 다르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자신의 삶을 잘 살아가기 위한 노력을 얼마나 들이느냐에 따라 그 운이 다르게 된다.
비록 태어난 시기가 좋지 않더라도 근면하고 절약하며 항상 주변사람과 잘 어울리도록 노력하면
그는 평탄하게 세상을 잘 살아 갈 수가 있다.
반대로 아무리 운이 좋아도 자신이 그 좋은 운을 받아들이려는 힘을 기르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즉 그 운을 받아들이는 역량을 갖추어야 길신이 힘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 노력으로 인생을 20~30%정도는 바꾸어 갈 수 있다.
● 좋은 씨앗, 좋은 밭에 씨를 뿌려도 잘 가꾸어야 열매를 맺는다.
그래서 현자는 천운을 알고, 지운을 알며
마지막으로 지운을 알아서 인생에 나아갈 때와 물러날 때를 알며
좋은 운에는 나아가고, 나쁜 운에는 조용히 공부하고 마음을 다스리고 실력을
길러 좋은 운에 대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극선자(極善者=성인)와 극악자(極惡者)는 운명이 비껴간다고 하는
격언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이 말은 마음을 완전히 다스려 자신의 욕망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사람은 결국 어떠한 운이
와도 동요함이 없이 잘 살아간다는 뜻이며, 극악무도한 자는 아무리 좋은 운이 와도 좋아질리
없이 늘 지옥과 같은 마음을 가진다는 뜻이다.
즉 항상 극락 같은 마음을 가진 성현과 늘 지옥과 같은 마음을 가진 극악무도자는 운의 적용이
필요 없다는 뜻이다.
그래서 이 양극단을 제외한 자는 운의 적용을 받게 된다는 뜻이다.
● 또 착한 일을 많이 하는 집안에는 복이 도래하고
악한 일을 많이 하는 집안에는 화가 미친다는 속담이 있다.
결국 비록 천운과 지운이 아주 좋지 않아
하늘이 내려준 대통령이나 큰 부자는 되지 못한다고 할지라도
평소 착한일하고, 자신의 단점을 고치고 장점을 살리면
누구나 복을 받아 운이 좋게 된다는 뜻이다.
그래서 개운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업장소멸을 위한 참회기도와 정진
그리고 복덕을 쌓은 선행인 보시를 많이 하여야 한다.
자신이 베풀어야 하늘이 그 응답으로 베품을 주는 것이다.
결국 인운(人運)은 개운(開運)을 위한 노력인 것이다.
개운정사(개운선원)
正印 남광 합장
출처 : 개운명리학당글쓴이 : 남광 원글보기메모 :'개운의 길 > 개운명리 왜 배우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5월16일(일) 개운명리학 특강 안내입니다. (0) 2010.05.06 [스크랩] 천운(天運), 지운(地運) 그리고 인운(人運) (0) 2010.03.21 나도 살리고, 남도 살리는 심오한 방편을 얻게 됩니다. (0) 2010.02.27 인생에 승리자가 되려면~~ (0) 2010.02.27 개운명리학을 배우면 무엇이 유리한가? (0) 2010.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