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고의 지성은 인연법을 깨닫는 것남광 개운상담 엣세이 2021. 6. 18. 09:57
최고의 지성은 인연법을 깨닫는 것(2141)
#
처음 자전거를 배우려고 할 때 자전거에 올라가면 무서운 생각이 듭니다.
그러다가 몇 번 넘어지고 일어나고 타기를 반복하다보면 어느 듯 무서운 생각이
사라지고 자전거를 잘 타게 됩니다.
수많은 전쟁터에서 살아남은 장군이 어느 고명한 스님을 찾아가 담력시험을 했습니다.
서로 차를 마시는데 갑자기 천지를 뒤흔드는 대포소리가 울렸습니다.
그 순간에도 고승은 조금도 흐트러지지 않고 편안한 얼굴에 차를 마셨습니다.
그런데 차를 마시다가 벼락같은 큰 소리로 “할”하였습니다.
그러자 그 무장은 생각지도 않은 역습을 받아 그만 찻잔이 흔들려 차를 쏟고 말았습니다.
그는 미리 부하들에게 지시하여 대포를 쏘게 한 것이지만
스님의 “할” 소리에 당하고 만 것입니다.
장군은 스님께 삼배 드리고 또 다른 담력을 보여 달라고 청했습니다.
그러자 스님은 빙그레 웃으시며 절 마당에 막대기로 줄을 일자로 죽 긋고 그 위를
두 번 왔다 갔다 하고는 ‘이것이 최고의 담력시험이다.’라고 했습니다.
그 장군은 어이가 없다는 듯 “스님 그것은 삼척동자도 다 할 수 있는 것이거늘
어찌 담력시험이라 합니까?”라고 했습니다.
이에 스님은 “그러면 나와 같이 저 언덕에 올라가보세” 하며 천길 절벽 사이에 외나무 통나무가 걸쳐 있는 곳으로 갔습니다. 그리고 그 통나무 위를 마치 땅위에서 걷듯 사뿐하게 건너왔습니다. 하지만 그 장군은 천길 절벽을 보자마자 마음이 동요가 되어 통나무 중간에서 발을 헛디뎌 넘어지려하다 겨우 통나무를 껴안고 목숨을 부지하게 되었습니다.
#
이 사례에서 두려운 마음과 공포는 눈으로 듣고 귀로 보며 머리로 생각할 때 일어나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도인은 6가지 감각기관(6근)으로 6가지 대상(6경)을 볼 때 이를 잘 알아차려 어떠한 경우에도 평정한 마음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일반 사람이나 수행력이 모자라는 수행자는 보이는 것, 듣든 것에 자신의 마음을 빼앗겨 스스로 희로애락 우비고뇌에 빠지게 됩니다.
이런 현상은 나를 보호하려는 본능과 어떤 피해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앞서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경험의 중요함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험하고도 사소한 일을 크게 생각하여 두려움을 떨치지 못한다면 아직도 현상을 바르게 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똑같은 일도 사람마다 겪는 느낌의 정도가 다르기 마련입니다.
그러므로 무슨 일이나 있는 그대로 알아차려서 하나의 현상으로 분리해 보아야 합니다.
#
어떤 일이나 어리석은 사람은 고통이 계속되고 지혜가 있는 사람은 고통을 소멸시킵니다.
어리석은 사람은 선입관을 가지고 대상과 접촉하여 나타난 현상을 부정적으로 봅니다.
지혜가 있는 사람은 대상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려서 나타난 현상을 긍정적으로 봅니다.
결국 부정과 긍정의 차이가 자신의 괴로움과 즐거움이 생기는 것입니다.
모든 현상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면 즐거움으로 인해서 오는 괴로움을 소멸시킬 수 있습니다. 또 괴로움으로 인해서 오는 두려움과 슬픔에서도 벗어날 수 있습니다.
있는 그대로 알아차려서 생긴 청정한 마음이 깨달음을 얻은 성자의 마음이며
최고의 지성인 것입니다.
#
그렇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것은 인연 따라 일어나는 것임을 확실하게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나의 슬픈 마음, 기쁜 마음, 두려운 마음, 그 어떤 마음도 원인이 있고 조건이 있어
일어나고 사라짐을 확실히 알아차려야 합니다.
알아차림 한다는 것은 인연법을 긍정하는 것입니다.
인연법을 대 긍정하는 이가 깨달은 자입니다.
감사합니다.
'남광 개운상담 엣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살려면 독립심과 책임감을 키워라. (0) 2021.07.29 기도 후 왜 회향제사(천도제사)를 올리는가?(2161) (0) 2021.07.06 대상에 속지마라. (0) 2021.06.09 세상에 곤란 없기를 바라지마라.(2115) (0) 2021.05.23 행복하려면 집착을 버리고 지족하며 베풀어라 (0) 2021.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