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공부/금강경 강의

[스크랩] 금강경의 지위

개운당 남광 2010. 3. 28. 14:06

금강경의 지위

 

 

(1) 금강경을 의지하는 이유

 

불교의 근본 이치인 아공(我空=나없음), 법공(法空=유위법 없음)을 설파하신 근본도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육조대사가 금강경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의 구절에 의하여 대오하셨다는 점에서 소의경으로 하고 있다.

 

 

(2) 금강경 번역의 중요한 것

 

1) 금강반야바라밀경-402년-구라마습 번역

2) 금강반야바라밀경-509년-보리유장 번역

3) 금강반야바라밀경-562년-진제삼장 번역

4) 금강단할반야바라밀경-605~615년-달마 번역

5) 금강능단반야바라밀경-648년-현장 번역

6) 금강능단반야바라밀경-703년-의정삼장 번역

 

 

(3) 금강경의 6백부반야중 지위

 

4처16회에 걸쳐 설법하신 6백부반야중의 일부를 금강반야바라밀경이라한 것인데, 이 금강경은 제2처 급고독원 7회중 제2회에 설하신 것으로 6백반야가운데 577번째에 해당한다.

 

 

(4) 4처(설법하신 장소 4곳) 16회(설법하신 횟수)

 

1) 왕사성 취봉산 - 7회

2) 급고독원 - 7회

3) 타화자재천궁마니보장전 - 1회

4) 왕사성죽림정사백로측 - 1회

 

 

 

 

출처 : 개운선원
글쓴이 : 正印 (남광) 원글보기
메모 :